티스토리 뷰

백내장은 안과 질환의 하나로, 수정체는 황백색 또는 갈색을 띠게 되고 물체가 흐릿하게 보입니다.

 

백내장

 

 

백내장의 원인

 

백내장은 수정체를 구성하는 단백질인 크리스탈린의 결합에 의한 변성에 의해 발생하며, 황백색이나 탁하게 되지만, 근본 원인은 밝혀지지 않고, 수정체의 세포 간의 유착이 약해지거나 물의 통과가 열화 되는 것이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 질병의 발병률은 45세 이상의 중년층에서 더 흔하며 나이가 들수록 비율이 증가합니다. 또한 80세 이상의 노인은 대부분 백내장 증상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다만 진행 속도는 사람마다 다르고, 반드시 시력 곤란 등의 증상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이러한 이유로 수정체의 혼탁 자체는 질병이 아니라 피부의 기미와 주름과 마찬가지로 노화의 일부라는 생각도 있습니다.

 

선천성 대사 장애 갈락토스혈증을 앓고 있는 사람이 우유를 섭취하면 우유의 성분인 유당이 분해되어 갈락토오스와 포도당이 생성되고, 대사 되지 않는 잔여 갈락토오스가 수정체가 혼탁해져 백내장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정상적인 신진대사에서는 갈락토스가 포도당보다 먼저 섭취되기 때문에 혈액에 잔류물이 거의 없다고 되어 있습니다.

 

 

백내장의 증상

 

백내장은 발병 원인에 따라 증상의 양상과 진행 속도에 차이가 있습니다. 두 경우 모두 결국 시야가 흐려집니다. 혼탁이 일정 지점까지 진행되면 렌즈에 산란된 빛이 시야를 하얗게 물들이고(밤은 물론이고 낮에는 사물을 볼 수 없음) 시야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시야가 흐려집니다. 핵 백내장의 경우 근시가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노화에 의한 것이라면 탁한 황백색 또는 갈색이 되지만, 젊으면 탁한 흰색이 됩니다.

 

노화 관련 증상의 경우 시야의 주변부에서 시작하여 중심부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경우 초기에 증상이 발생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차리기 어렵고, 증상의 진행 속도는 사람마다 크게 다르기 때문에 진행이 느린 사람에서는 사망할 때까지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병변이 발생하면 해당 부위에 빛이 산란되어 밝은 곳에서는 사물을 보기 어렵거나 눈이 부실 수 있습니다. 증상이 진행됨에 따라 눈부심이 강해지기 때문에 눈이 쉽게 피로해지고 안저에 통증을 느낍니다. 병이 진행됨에 따라 검은 눈은 희끄무레하고 탁해지며 시야는 흐려져 보이지 않게 됩니다.

 

 

백내장의 치료

 

현재로서는 치료 약이 개발되지 않았으며, 일단 병이 발병하여 흐려지면 되돌릴 수 없습니다. 불투명한 수정체를 외과적으로 제거하고 대체 인공 수정체를 삽입하는 것이 거의 유일한 치료법입니다. 백내장 수술은 가장 안전한 수술 중 하나이며, 백내장 치료는 인지 기능저하 예방과 관련이 있습니다.

 

초기에는 항산화제(주로 점안액) 등의 약제를 진행을 지연시키는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안약의 치료에 대해서는 "효과에 대한 과학적 근거가 충분하지 않다"라고 밝혀졌습니다. 눈부심이나 시력 저하의 호소가 강하고 안경으로 교정해도 해결되지 않는 경우 수술로 증상이 개선될 수 있습니다. 의사에 따라 생각의 차이는 있지만, 담당 의사와 충분한 상담 후 수술 시기를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백내장을 제거하면 치매 위험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구자들은 감각 장애(시력상실 등)가 사회적 고립과 뇌 자극 감소에 기여한다는 증거가 있으며, 이는 치매 발병의 위험 요인이라고 말합니다.

 

예로부터 "눈의 수정체는 혼탁하고 사물을 보는 데 방해가 된다"라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이 폐쇄 렌즈를 시야에서 제거하는 방법이 취해졌습니다. 방법으로는 렌즈 탈구를 일으켜 시야에서 벗어나게 하는 것인데, 카우칭 방법(충돌법) 입니다. 이것은 날카롭지만 굵은 바늘을 안구에 삽입하여 혼탁한 수정체를 안구 아래쪽으로 밀어 넣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뭉툭한 물체로 눈을 부딪쳐 수정체를 지지하는 뇌 섬유를 찢어 떨어뜨리는 방법이지만, 이 두 가지 모두 완전히 진행되지 않은 백내장에 시술되어 수정체에 균열이 생기고 파편이 염증과 통증을 일으켜 시력에 악영향을 미칠 위험이 있었습니다. 또한 렌즈가 되돌려지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10세기 경의 이슬람 세계에서는 수정체가 돌아오는 것을 막기 위해 "바늘을 속이 빈 바늘에 삽입하고 탁한 수정체를 빨아들이는 수술"을 행하고 있었지만, 이 방법은 수정체가 손상될 위험도 있었습니다.

 

18세기 프랑스의 의사 자크 다비엘은 혼탁한 수정체를 제거하는 수술을 더 안전하게 했습니다. 당시에는 안구에 마취나 실이 없었기 때문에 큰 절개 부위를 봉합할 수 없어 환자는 며칠 동안 움직이지 않았습니다. 그 후 1967년 미국의 의사 찰스 켈먼(Charles Kelman)이 수정체를 초음파로 분쇄하여 빨아들이는 수정체 유화를 발표하여 안구의 절개 부분을 축소할 수 있게 되었고, 현재는 이 방법이 주류가 되었습니다. 어쨌든 초점을 맞출 수 없기 때문에 어떤 식으로든 볼록 렌즈를 사용하여 초점을 맞출 수 있었습니다.

 

과거에는 전신 마취, 구근 후 마취(긴 바늘로 안구 안쪽에 마취액을 주입), 눈 깜빡임 마취 (눈을 깜빡이지 억제하기 위해 마취를 주입)로 마취를 실시하고 있었기 때문에 마취 중에 큰 통증을 유발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현재는 수술 시간의 단축과 마취제 사용의 발전에 따라 리도카인 등을 이용한 안과 마취(마취액을 주입하는 마취법)를 사용할 수 있으며, 간단한 방법이 채용되고 있습니다.

 

과거의 수술 방법은 수정체 내낭 절제술로, 공막을 크게 절개하여 절개 상처를 만들고 수정체 전체를 제거하는 수술이었습니다. 이 시술은 절개 상처 폭 12mm 정도가 필요하고, 수술 후 난시가 강한 경향이 있고, 인공 수정체의 삽입이 어렵습니다. 그 후, 절개폭은 변하지 않으나, 수정체낭이 보존된 상태에서 수정체를 제거하고, 수정체외수정체와 수정체 삽입술을 시행하여 보존된 수정체낭에 인공수정체를 삽입합니다. 절개 폭이 넓고, 수술 후 염증이 생기고, 안압이 불안정하여 수술을 위해 입원해야 하는 의료기관이 많았습니다.

 

현재 가장 일반적인 절개 방법은 각막을 절개하는 각막 절개법과 공막에서 각막까지 터널을 절개하는 경화절개술입니다. 최근 몇 년 동안 의료 기술의 발달로 혼탁한 수정체의 핵을 초음파로 유화 및 분쇄하여 흡입 및 제거하고 피질로 처리한 다음 인공 수정체를 보존 수정체 캡슐(수정 수정체를 둘러싸는 주머니)에 인공 수정체를 삽입합니다. 오늘날에는 인공수정체를 접거나 인공수정체를 삽입하는 인젝터가 개발되어 절개 폭이 3mm 이하인 절개상처를 만들 수 있습니다. 또한 수정체를 보존할 수 없거나 수정체를 지지하는 턱소대(근섬유)가 약하여 수정체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인공수정체를 꿰매거나 전방에 삽입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실제 수술 시간은 10분에서 40분(증상이 진행된 후 수술의 경우 수정체가 너무 딱딱해져 초음파로 깨뜨리는 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수술 시간이 길어질 수 있음)으로 이른바 "1일 수술"이 가능하여 환자의 부담이 크게 줄어들었습니다.

 

수술 후의 부작용으로 수술 후 수개월에서 수년에 걸쳐 수정체 후낭이 혼탁해지는 백내장이 늦게 발생한 경우, 레이저로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습니다. 후기 백내장은 예전에는 약 30% 발생했으나 최근에는 인공수정체와 수술 방법이 개선되면서 빈도가 1~10% 정도로 감소했습니다.

 

안과 수술 중에서도 매우 안전한 수술이지만, 물론 100% 안전한 수술은 없으며, 합병증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있고, 최악에는 실명에 이르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수술을 하지 않으면 결국 실명에 이르게 되는데, 이는 개발도상국에서 실명의 주요 원인입니다.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4/1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