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실어증은 고전 분류인 Wernicke-Lichitheim의 실어 도식에 의한 실어 분류로 설명합니다.

 

실어증
실어증

 

 

초피질성 실어

초피질성 실어란 복창이 유지되고 있는 실어의 총칭입니다. 복창은 웰니케야로부터 활상속, 브로카야, 중심 전회를 경유하는 발화 기구로 운영되고 있다고 생각되고 있으므로 이러한 기구가 보존되어 있으면 초피질성 실어가 된다고 생각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개별 책임 병변은 반드시 명확하게 알 수는 없습니다. 일반적인 특징으로는 반향 언어(앵무새 반환)와 같은 발어가 많은 것이 특징입니다.

 

피질하 실어

내언어가 보존되어 있는 실어의 총칭을 피질하 실어라고 합니다. 시상이나 피각이 책임 병소가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운동성 실어

좌 대뇌반구의 하 전두회 후부(브로카 영야) 주변의 손상에 관련 깊은 것으로부터 「브로카 실어」라고도 불립니다. 발화량이 적고 비유창, 일반적으로는 노력성이 넘치는 말투, 말의 청각적 이해면은 비교적 양호하게 유지되고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읽고 쓰기는 가나 문자보다 한자 쪽이 양호한 경우가 많습니다. 병소는 중심 전회와 그 전방 영역, 또한 섬도 포함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뇌경색에 의한 운동성 실어의 전형적인 경과는 전체 실어와 같은 심각한 언어 증상을 보이지만 서서히 개선되고, 심각한 발어가 인정된다는 경과입니다. 자주 인정되는 증상은 발화 장애, 환어 곤란, 복창 장애, 착어, 전문체, 문법 장애, 어상기 장애 등이 있습니다.

 

감각성 실어

좌 대뇌반구의 상 측두회 후부(웰니케 영야) 주변의 손상과 관련 깊은 것으로부터 「웰니케 실어」라고도 불립니다. 발화는 유창, 발화량에 비해 정보량이 적고, 말의 청각적 이해면이 현저하게 장애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발화에서는 말을 잘못하는 것(착어)이 많이 출현해, 의미 불명한 신조어도 볼 수 있습니다. 급성기에서는 종종 다변하며, 장애의 자각이 부족한 경우가 많습니다. 병변은 종종 좁은 의미의 웰니케 필드를 포함하는 후방 영역입니다. 병소가 웰니케노에 국한되는 경우는 드물며, 보통 운동 마비는 합병하지 않습니다. 자주 인정되는 증상은 청각 이해 장애, 복창 장애, 착어, 저곤, 어상기 장애 등이 있습니다.

 

초피질성 운동 실어

언어 자발성 저하와 좋은 복창이 특징인 실어입니다. 형식적으로는 비유창성으로 되지만, 운동성 실어가 「말할 수 없다」인 것에 비해, 초피질성 운동 실어는 「말하려고 하지 않는다」로 나타납니다. 즉, 발화량이 감소하고 복창이 유지되는 상태입니다. 병소로서는 좌전두엽의 내측부(보충 운동야, 상전두회)로부터 등외측부(중하 전두회)이지만 중심 전회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초피질성 감각 실어

말의 소리를 인지할 수 있고, 복창도 할 수 있지만, 말의 의미를 이해할 수 없는 실어를 말합니다. 반향언어가 돋보이며, 발화는 유창하고, 잘못된 말(착어)이 많습니다. 즉, 청각적 이해 장애가 있고 복창이 유지되는 경우입니다.

 

혼합형 초피질성 실어

전 실어의 양상이면서, 복창은 유지되고 있는 것을 말합니다. 그러나 복창은 의미 이해를 수반하지 않습니다. 속담 등의 처음 한 글자를 주면 그 글자를 자동적으로 말하는(보완 현상) 등도 보입니다. 언어 필드를 둘러싸듯이 손상되기 때문에 ‘언어 필드 고립 증후군‘이라고도 불립니다.

 

피질하 운동 실어

순수 어창, 순수 실구음 이라고도 합니다. 내부 언어는 유지되기 때문에 음성에 의한 언어 표현은 어렵지만, 글자에 따라 언어 표현이 가능한 경우에 사용됩니다. 중심 전회의 중부에서 하부의 영역이 책임 병소입니다. 뇌졸중에서는 구강 안면 실행이나 가성구마비를 수반할 수 있습니다. 가명의 착서 등 정의에서 벗어나지만 뇌졸중 초기는 합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피질하 감각 실어

순수 어뜸 이라고도 합니다. 내언어가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청각에 의한 언어 이해는 장애가 있지만 시각에서 들어간 언어 이해는 정상적으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모든 실어

왼쪽 대뇌 반구의 실비우스열 주위의 광범위에 걸친 손상에 의해 「듣기」 「말한다」 「읽기」 「쓰기」 모든 언어 기능이 중증에 장애가 되는 실어입니다. 특정 단어의 자동 발화(잔어, 재귀성 발화)가 보일 수도 있습니다.

 

건망실어

실명사 실어라고도 불립니다. 환어 곤란, 호칭 장애를 주 증상으로 하고, 다른 실어 증상을 거의 수반하지 않습니다. 먼 곳에서 돌아다니는 설명(우언)이 자주 보입니다.

 

전도 실어

고전론에서는 단어의 이해도 표출도 비교적 양호하지만, 음운성 착어와 청각적 파지력의 저하(들은 말을 단기간 기억해 두는 힘의 저하, 언어성 단기 기억의 저하)를 특징으로 합니다. 그러나 현재는 자발화, 복창, 음독 등의 발화 전반에 걸친 음운성 착어가 주 증상이라는 생각이 주류입니다. 특히 복창에서 오류가 출현합니다. 스스로의 잘못을 알아차리고 자기 수정을 실시(접근 행위)가, 청각적 파지력의 저하 때문에 발언해야 할 말을 잊어버려, 올바른 발어에 이르지 않는 경우도 많습니다.

 

교차성 실어

순수한 오른손잡이, 오른쪽 대뇌 반구 손상으로 인한 실어입니다. 일반적으로 오른손잡이의 언어 영역은 거의 좌반구에 존재한다고 여겨지기 때문에 드문 경우입니다. 감별 재료로서는 화상 진단상 우반구 손상에 한정되어 있는 것, 순수한 오른손잡이인 것, 근친의 혈연자에게 왼손잡이가 없는 것 등 있습니다.

 

시상성 실어

시상성 실어의 특징은 자발어의 감소, 음성량의 저하, 착어, 호칭 장애, 보속, 이해 장애 등이 알려져 있습니다. 복창, 음독은 유지되고 있어 증상이 조기에 개선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고전 분류에서는 초피질성 운동 실어나 혼합성 초피질성 실어로 분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원발성 진행성 실어

원발성 진행성 실어 등 신경 퇴행성 질환의 일부에서는 진행성 실어의 경과를 취하기도 합니다.

 

진행성 비유창성 실어

전두측 두엽 변성증 중 하나입니다. 타우오 파티(FTLD-tau)와의 연관성이 시사되었습니다. 증상은 발화 장애, 문법 장애, 복창 장애, 어상기 장애, 착어 등이 있습니다. 왼쪽 실비우스 균열 주위(하 전두회, 중심 전회 하부, 섬회)가 책임 병소라고 생각되고 있습니다.

 

의미 치매

어의 실어라고도 합니다. 의미 기억장애가 있어 물건의 이름을 들어도 무엇인지 알 수 없습니다. TDP43 단백질 이상증(FTLD-TDP)과의 연관성이 밝혀졌습니다. 책임 병변은 좌측 두엽 전방입니다.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4/10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