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백혈병은 유전자 변이를 일으킨 조혈세포(백혈구계 세포)가 골수에서 무한히 증식하여 정상적인 조혈을 저해하며, 대부분은 골수에만 머무르지 않고 혈액 중에도 백혈병 세포가 넘치는 혈액 질환이며, 혈액 암이라고도 불립니다.
백혈병 세포가 조혈의 장인 골수를 점거하기 위해 조혈이 저해되어 정상적인 혈액 세포가 줄어들기 때문에 감염증이나 빈혈, 출혈 증상 등의 증상이 나기 쉬워져, 혹은 골수로부터 혈액 중에 넘쳐 나왔다 백혈병 세포가 다양한 장기에 침투(침입) 하여 장애할 수도 있습니다.
치료는 항암제를 중심으로 한 화학 요법과 수혈이나 감염증 대책 등의 지지요법에 더해, 난치 예에서는 골수이식이나 제대혈 이식 등의 조혈 줄기세포 이식 치료도 행해집니다.
백혈병은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 급성 림프성 백혈병(ALL), 만성 골수성 백혈병(CML), 만성 림프성 백혈병(CLL)의 4가지로 나뉩니다.
백혈병의 개요
백혈병은 병적인 혈액 세포(백혈병 세포)가 골수에서 자율적으로, 즉 통제되지 않고 무질서하게 증가하는 질병입니다. 골수는 혈액세포를 만들어내는 장이며, 골수에서의 백혈병 세포의 증가에 의해 정상적인 조혈 세포가 조혈의 장을 빼앗기면 정상적인 조혈이 곤란해져, 혈액(말초혈)에도 영향이 미칩니다. 혹은 골수로부터 혈액 중에 넘치는 백혈병 세포가 다양한 장기에 침윤(침입) 해 장애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백혈병 환자의 혈액에서 백혈병 세포 또는 병리학적 백혈구를 포함하면 백혈구 총 수가 현저히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습니다.
백혈병의 증상으로서 정상적인 백혈구가 줄어들면 감염증(발열)과, 적혈구가 감소함에 따라 빈혈이 되어 빈혈에 따른 증상(권태감, 동계, 현기증)이 일어나고, 혈소판이 감소하여 잇몸출혈 증상 등을 흔히 볼 수 있습니다. 또한 혈액 중에 넘쳐나는 백혈병 세포가 피부나 신경, 각 장기에 침윤(침입) 하여 그에 다양한 이상이 일어날 수도 있습니다.
백혈병은 1년에 10만 명당 약 7명이 발병하는 비교적 발병이 적은 암입니다. 소아나 청년층에서는 매우 드물지만 백혈병은 소아에서 노인까지 널리 발병하기 때문에 소아에서 청년층으로 한정하면 암 중 비교적 발병이 많은 암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
조혈의 장인 골수에서 조혈의 기초가 되어 있는 세포가 변이 됨으로써 일어나는 것이 백혈병이며, 암이나 육종과 같이 고형의 종양을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위암이나 대장암 등과 같이 수술 치료보다는 항암제 등의 화학요법에는 매우 잘 반응합니다.
19세기에 독일의 병리학자 루돌프 루트비히 카를 피르호가 백혈병을 처음 보고하고 Leukemia(백혈병)라고 명명했습니다. 한때 백혈병은 치료가 어려웠고, 자각증상이 나타나고 나서는 급한 경과를 따라 죽음에 이르렀기 때문에 불치의 병이라는 이미지를 가져왔습니다. 또한, 백혈병은 현대에서도 현실적으로 젊은 층의 병사인 중에서 높은 비율을
차지하기 때문에, 픽션에서는 과거의 결핵을 대신해 현대에 있어서 암과 함께, 젊은 주인공이 백혈병에 걸리는 설정이 많이 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 화학요법과 골수 이식, 말초혈 조혈 줄기세포 이식, 제대혈 이식의 진보에 따라 치료 성적은 개선되고 있습니다.
백혈병이라고 해도 크게는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 급성 림프성 백혈병(ALL), 만성 골수성 백혈병(CML), 만성 림프성 백혈병(CLL)의 4개로 나누어져 각각의 병태는 다릅니다. 급성 백혈병에서는 증가하는 백혈병 세포는 어린 혈액세포와 형태는 비슷하지만 정상적인 분화, 성숙 능력을 잃어 다르게 됩니다. 만성 백혈병에서는 1계통 이상의 혈액 세포가 비정상적인 증식을 하지만, 백혈병 세포는 분화 능력을 잃지 않고, 어린 혈액 세포에서 성숙한 세포까지 광범위한 세포 증식을 합니다. 급성 백혈병 세포는 혈액 세포의 어린 세포와 유사한 형태를 취하고, 많은 급성 백혈병에서는 출현하는 백혈병 세포에서 발현되는 특징이 백혈구계 어린 세포에 나타나는 특징과 공통점이 많은 세포이지만, 많지는 않지만 적혈구 계통이나 혈소판 계통의 어린 세포의 특징이 발현한 백혈병 세포가 나타나는 것도 있어 이들도 백혈병이라 부릅니다. 혈액 세포는 분화의 방향으로 림프구와 골수계 세포로 나누어지지만, 대부분의 백혈병 세포도 조금이라도 분화의 방향이 있어 림프성과 골수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백혈병에 있어서의 만성과 급성의 의미는, 다른 질환에서 말하는 만성과 급성의 의미와는 다릅니다. 급성 백혈병이 만성화한 것이 만성 백혈병이라고 하는 것이 아니라, 백혈병 세포가 어린 형태인 채 증가해 나가는 백혈병을 급성 백혈병, 백혈병 세포가 성숙 경향을 가져 보기에 정상적인 혈액 세포가 되는 백혈병을 만성 백혈병이라고 합니다. 백혈병의 역사 속에서 일반적으로 치료를 하지 않은 경우에는 백혈병 세포가 어린 형태인 채 증가해 나가는 백혈병이 죽음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이 짧았기 때문에 급성이라고 명명되었습니다. 급성 백혈병은 만성화되면 만성 백혈병이 되지 않지만 반대로 만성 백혈병은 돌연변이를 일으켜 급성 백혈병과 같은 병태가 될 수 있습니다.
악성 림프종이나 골수 이형성 증후군과 같은 유연한 질환은 일반적으로 백혈병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악성 림프종과 림프성 백혈병의 세포는 본질적으로 동일하다고 하며, 골수 이형성 증후군에도 전 백혈병 상태와 위치에 따라 백혈병화하는 것도 있어, 이들 유연 질환과 백혈병의 경계는 모호한 면도 있습니다.
백혈병의 역사
19세기 중반, 독일의 병리학자 루돌프 루트비히 카를 피르호가 거대한 비장종을 수반하여 혈액이 백색으로 사망한 환자(지금에서 말하는 만성 골수성 백혈병)를 조사해 보고한 것이 백혈병의 혈액 질환으로서의 첫 인지입니다. 피르호의 보고 후, 백혈병은 경과가 비교적 느린 것을 만성 백혈병, 이른 것을 급성 백혈병으로 분류되었습니다(현재의 분류법과는 다릅니다). 1930년대에는 세포 과학적 수법에 의해 림프성과 골수성으로 분류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피르호의 보고로부터 거의 100년에 걸쳐 백혈병에 대한 유효한 치료법은 없었고, 급성 백혈병은 수주부터 수개월, 만성 백혈병은 수개월로부터 수년에 사망하는 죽음의 병이었습니다.
제2차 세계대전 후에는 항암제 6-MP가 백혈병에 적용되기 시작했지만, 항암제의 종류도 지견도 적고, 혈소판 수혈이나 항생제도 부족했던 1960년대까지는 죽음의 병인 상황은 변하지 않았습니다. 1960년대부터는 항암제의 종류와 지견도 증가해 항암제 Ara-c와 다우노르비신의 다제 병용 요법이 개발되어, 다양한 항생제도 등장했습니다. 1960년대 후반부터는 항암제의 다제 병용 요법의 개량에 의해 백혈병이 치유되는 예가 늘어나기 시작했습니다. 1970년대부터 시작된 혈소판 수혈 등의 지지요법의 진보도 있어 급성 백혈병 환자의 70~ 80%는 일단 백혈병 세포가 보이지 않게 되었지만, 다제 병용 요법만으로는 재발은 적지 않고 최종적으로는 다제 병용 요법만으로 치유율은 30~40% 정도로 두드려졌습니다. 그 후, 1970년대부터 연구가 시작된 조혈 줄기세포 이식이 199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적용되기 시작하여, 화학요법만으로는 장기 생존은 어려운 난치 예에서도 조혈 줄기세포 이식으로 2~6%의 환자는 장기 생존을 기대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급성 전 골수구성 백혈병(AML-M3)에서 획기적인 치료법인 분화 유도 요법의 발견, 2001년에는 만성 골수성 백혈병(CML)의 분자 표적 약물 글리벡의 등장 등 AML-M3나 CML의 예후가 좋은 소아 등에서는 대부분의 환자가 치료되게 되었습니다.
백혈병 이름의 유래
백혈병은 앞서 언급한 피르호가 본 사망환자의 혈액이 하얗게 되었기 때문에 그리스어의 백색(λεύκος)과 피(αίμα)를 라틴 문자로 변환한 leukos와 haima에서 조어하여 leukemia(백혈병)이라고 명명되었다고 합니다. 피르호가 본 환자에서는 극단적으로 백혈구가 증가하여 혈액이 희게 되어 있었다고 생각되지만, 실제로 혈액이 새하얗게 되는 것은 아니고 백혈병 세포가 극단적으로 증가한 예로 통상은 진한 적색인 혈액이 적색에서 회백색 적색이 되는 것만으로, 대부분의 백혈병 환자에서는 혈액의 색은 적색까지 있습니다. 혈액의 적색은 적혈구의 색이지만, 적혈구가 완전히 없어지기 전에 사람은 사망하기 때문에 혈액이 완전히 새하얗게 될 때까지 생존할 수는 없습니다.
백혈병에 의해 빈혈이 강해지면 혈액의 색이 희미해집니다. 또한 마찬가지로, 적 백혈병(FAB 분류 M6)에서도 피가 핑크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한편, 가족성 리포단백질 리파아제 결손증에서는 혈액 중에 중성지방이 모여 피가 유백색이 되지만, 이것은 백혈병이라고 불리지 않습니다.
덧붙여서 건강한 사람의 혈액을 원심분리하면 하층에는 진한 적색의 적혈구, 상층에는 황색을 띤 투명한 혈장으로 분리하지만, 중간에는 약간 회색을 띤 하얀 얇은 층이 나타납니다. 흰 층을 이루는 혈액 세포를 그리스어 유래의 흰색을 의미하는 leuko와 세포를 나타내는 cyte를 아울러 Leukocyte(백혈구)라고 명명되었습니다. 백혈구 중 하나는 실제로는 무색 반투명이지만 많이 모이면 빛을 반사해 하얗게 보입니다. 백혈병 환자의 대부분은 백혈구 또는 백혈구와 마찬가지로 무색 반투명 한 어린 혈액세포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혈액을 원심 분리하면 중간 백색 층의 두께가 증가합니다. 흰 층의 증가 정도가 심하면 혈액의 색도 변화합니다.
'질병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질병 중 고지혈증의 분류 및 치료, 유래하는 질환 (0) | 2024.05.01 |
---|---|
질병 중 백혈병의 원인 및 증상 그리고 치료법 (0) | 2024.04.26 |
질병 중 자폐증의 분류, 치료 그리고 사회와 문화 (0) | 2024.04.23 |
질병 중 자폐증의 특징 및 증상과 원인 (0) | 2024.04.22 |
질병 중 파킨슨병의 역사 및 원인, 증상, 치료 (0) | 2024.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