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강박성 장애는 불합리한 행위나 사고를 자신의 뜻에 반하여 반복해 버리는 정신장애의 일종입니다.

 

강박성-장애
강박성 장애

 

 

강박성 장애의 정의

 

강박장애는 같은 행위를 반복해 버리는 강박행위와, 같은 사고를 반복해 버리는 강박관념으로 이루어집니다. 대부분은 그 행위에 건당 1시간 이상을 소비하여, WHO는 생활상의 기능장애를 일으키는 10대 질환의 하나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미국 정신의학회 발행의 DSM-IV(정신장애의 진단과 통계 매뉴얼)에 있어서는 불안 장애로 분류되고 있었지만, 2013년의 DSM-5로부터는 독립한 질환 개념으로서 강박증 및 관련증군 중 하나로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세계 보건기구(WHO)의 국제질병분류(ICD-10)는 ‘신경증성 장애, 스트레스 관련 장애 및 신체 표현성 장애’의 카테고리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강박성 장애의 원인은 알 수 없습니다. 그래서 유사한 증상을 일으키는 여러 질병의 기초에 있는 연속성에 주목하고, 그들을 강박 스펙트럼 장애(OCSD)로서 그 특이한 관련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 스펙트럼에는 자폐증, 아스퍼거 증후군, 틱, 탈모증, 피부흡충증, 자상 행위, 신체 추형 공포, 섭식 장애, 중독 등이 포함됩니다.

 

인구의 약 2.3%는 인생의 어느 시점에서 강박성 장애를 경험합니다. 연간 환자 수는 전 세계적으로 약 1.2% 정도입니다. 환자의 절반은 20세 이하에서 발병하고 있으며, 35세 이후에 발병하는 것은 적고, 남성도 여성도 거의 동일하게 발병합니다.

 

치료는 주로 심리요법에 의해 행해지고, 노출 및 반응 지법(ERP) 등을 포함하는 인지 행동요법(CBT)이 진행되고, 그것에 병행하여 약물 요법 등이 행해집니다. 이러한 치료로 증상이 사라지지만, 치료를 받지 않으면 그 증상은 수십 년간 지속될 수 있습니다.

 

 

강박성 장애의 증상

 

강박 증상이란 강박성 장애의 증상으로 강박관념과 강박행위로 이루어집니다. 둘 다 존재하지 않으면 강박성 장애로 진단되지 않습니다. 강박 증상은 스트레스로 인해 악화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강박관념(Obsessions)이란, 본인의 의사와 무관하게 머리에 떠오르는, 불쾌감이나 불안감을 일으키는 관념을 가리킵니다(침입 사고). 강박관념의 내용이 현실이 되는 것은 아니고, 사실일 수도 없습니다. 강박관념 내용의 대부분은 평범한 사람에게도 보이는 것이지만, 보통 사람은 그것을 크게 신경 쓰지 않고 있을 수 있는 반면, 강박성 장애의 환자의 경우에는 이것이 강하게 느껴지거나 오래 지속되기 때문에 강한 고통을 느낍니다. 단어나 숫자와 같이 그 자체에는 그다지 의미가 없는 것이 집요하게 떠오르는 경우도 있습니다.

 

강박행위(Compulsions)란 불쾌한 존재인 강박관념을 상쇄하거나 털어내기 위한 행위로, 강박관념처럼 불합리한 것이지만, 그것을 그만두면 불안과 불쾌감이 동반하기 때문에 좀처럼 멈출 수 없습니다. 그 행동은 환자나 경우에 따라 다르지만 몇 가지로 분류가 가능하고, 주위에서 보고 완전히 이해할 수 없는 행동도 환자 자신에게는 어떠한 의미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강박성 장애 환자의 3분의 1이 강박관념이고, 나머지 3분의 2의 환자는 강박 행위의 증상을 보입니다.

 

대부분의 환자는 스스로의 강박 증상이 기이하거나 부조리하다는 자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고민하거나 부끄러운 의식을 가지고 있는 경우도 많습니다. 또한 강박관념의 내용에 따라서는 죄의식을 느끼고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 때문에 자신만의 비밀로서, 또는 가족 등 주위에 비밀로 강박행위를 실시하거나, 불합리한 이유를 붙여 비밀로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반대로 스스로 처리할 수 없는 불안을 불식하기 위해 가족에게 강박행위를 유도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원칙적으로 강박관념이나 강박행위의 대상은 자신을 향한 것이며, 이것에 의해 환자가 비사회적으로 되어도, 예를 들면 범죄와 같은 반사회적 행동에는 연결되지 않습니다.

 

강박 증상의 내용에는 개인차가 있어, 인간이 가지는 온갖 걱정이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환자 자신의 대처 방법(강박행위)은 다르며, 한 명의 환자가 복수의 강박 증상을 가질 수도 있습니다.

 

 

강박 증상의 종류

 

불결 공포 및 세정 강박

결벽증이라고도 합니다. 손의 더러움이 신경이 쓰이고, 손이나 몸 등을 몇 번이나 씻지 않으면 신경 쓰이게 됩니다. 몸의 더러움이 신경 쓰이지 않기 위해 샤워나 목욕 등 여러 번 하는 경우 가 많지만, 증상은 줄어들지 않고 오히려 위생 하지 못한 상태로 발전하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돈이나 카드를 만지거나, 외출해 돌아왔을 때 더럽다는 감각을 가지기 때문에 씻는 행위를 반복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확인 행위

확인 강박이라고도 합니다. 외출이나 취침 시에, 집 열쇠나 가스 점검, 창을 닫았는지 등이 신경이 쓰여, 정도를 넘게 몇 번이나 돌아와서는 집요하게 확인합니다.

 

가해 공포

자신의 부주의 등으로 인하여 타인에게 해를 끼치는 사태를 이상하게 두려워합니다. 예를 들어 운전을 하고 있을 때, 눈치채지 못한 사이 다른 차량을 쫓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불안감에 자꾸 확인하는 행위, 아기를 안고 있는 여성을 보고 갑자기 그 아이를 잡고 던져 버리거나 떨어뜨리거나 하는 등 상궤를 벗어난 행위를 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공포도 포함됩니다.

 

피해 공포

자신이 자신에게 해를 끼치는 것, 혹은 자신 이외의 것에 의해 자신에게 해가 미치는 것을 이상하게 두려워한다. 예를 들면 스스로 자신에게 상처 내는 것은 아닐까 등의 불안에 시달리고, 예리한 것을 이상하게 멀리하는 등, 과거에 피해를 당한 것이 아닐까라는 의심을 하기도 합니다.

 

자살 공포

자신이 자살해 버리는 것이 아닐까 이상하게 두려워합니다.

 

질병 공포

질병에 대한 공포증 등, 자신이 중대한 병이나 이른바 불치의 병 등에 걸려 버리는 것이 아닐까 두려워하는 것을 말합니다. HIV 바이러스에 대한 감염을 걱정하고 혈액 등을 비정상적으로 두려워하는 것도 포함됩니다.

 

불완전 공포

불완전 강박이라고도 합니다. 물건을 질서 있게 순서대로 늘어놓거나, 대칭성을 유지하거나, 본인에게 있어서 제대로 된 위치에 놓지 않으면 신경 쓰이고, 잘 안된다고 불안을 느끼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면, 가구나 책상 위에 있는 물건이 자신이 정한 특정의 형태가 되어있지 않으면 불안해져 이것을 항상 확인하거나 고치려고 하는 등의 증상을 보입니다. 또한 일을 진행하는 데 있어서 특정의 순서를 지키지 않으면 불안해져, 잘되지 않으면 처음부터 몇 번이나 다시 하거나 하는 것도 있습니다. 우편물을 보낼 때 목적지나 서류 등에 잘못이 없을까 집요하게 생각에 사로잡히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확인 행위를 반복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보존 강박

자신이 소중한 것을 실수로 버려 버리는 것이 아닐까 하는 두려움으로부터 불필요한 용품을 집에 모아 놓는 것이 해당합니다. 본인은 불필요한 것이라고 알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자신의 행동에 대한 모순에 고민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수창 강박

불길한 수나 고집하는 수가 있어, 그 수를 피하거나 그 횟수를 되풀이해 버립니다. 숫자 4는 '죽음'을 연상하기 때문에 일상생활에서 이 숫자와 관련된 일을 피하는 등의 행위가 이에 포함됩니다.

 

성적 강박관념

동성애, 근친상간 등 본인이 사실은 생각하고 싶지 않은 성에 관한 이미지가 강박관념으로 솟아오릅니다. 동성애 강박성 장애는 HOCD라고도 합니다.

 

 

강박관념이나 강박행위는 환자를 피폐시키기 때문에, 환자는 강박 증상을 일으키는 상황을 피하려고 삶의 폭을 좁힐 수 있습니다. 이것을 회피라고 부릅니다. 중증이 되면 집으로 끌어들이거나 극히 좁은 범위에서만 생활하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회피는 강박행위와 같이 환자의 사회생활을 저해해, 일이나 학업을 계속하는 것을 곤란하게 해 버립니다.

 

또한 강박행위가 자신의 행위에만 국한되지 않고, 가족이나 친한 친구에게 강요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로 인해 환자뿐만 아니라 주변도 강박 증상의 대응에 지치게 될 수 있습니다. 말린 것처럼, 주변에서 환자의 강박행위를 돕는 것(환자를 대신하여 무언가를 씻거나 오류가 있는지 확인하는 등의 행위)는 환자의 병리를 유지하거나 오히려 악화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최대한 피해야 합니다. 다만 이것을 갑자기 그만두는 것은 환자에게 있어서 고통이 크고, 일시적으로 증상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강박성 장애는 정신적 질환이며, 박테리아나 바이러스 등의 병원체가 원인이 아니기 때문에 감염되는 것은 없습니다. 그러나 다른 강박성 장애의 환자로부터 영향을 받고, 본래 본인이 가지고 있지 않은 다른 증상이 발병하는 정신적인 감염은 있을 수 있습니다.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4/1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