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기흉은 어떤 이유로 폐의 공기가 흉강 내로 새어 나오고, 그 공기가 폐를 압박하여 폐가 외기를 섭취할 수 없게 된 상태를 말합니다.

 

기흉
기흉

 

기흉의 원인

 

기흉은 대부분은 자연 기흉으로, 폐포의 일부가 낭포 화한 것(Bulla)이나 흉막 바로 아래에 생긴 낭포(Bleb)가 찢어져 흡기가 흉강에 빠지는 일로 일어납니다. 흉통을 계기로 진찰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지명도가 낮기 때문에 천식 등과 착각해 방치되기도 하지만 그다지 드문 질병은 아닙니다.

 

노인의 기흉은 폐기종, 결핵, 폐암 등의 기초 질환에 수반되는 속발성 기흉이 많습니다. 여성의 경우는 자궁내막증이 횡격막이나 폐에 퍼져 월경과 함께 벗겨져 떨어지는 일이 생기는 월경 관련 기흉의 경우도 있습니다. 교통사고 등에 의한 갈비뼈 골절이 원인이 되는 것이나, 기관지경 검사에 의한 합병증, 침술에 의한 외상성 기흉도 있습니다. 정맥이나 동맥의 손상(혈흉)을 수반하는 경우는 혈기흉이라고 합니다.

 

자연 기흉은 키가 크고, 마른 형태의 10~20대 젊은 남성에게 일어나기 쉬운 경향이 있습니다. BMI가 20 전후의 남성에서는 6% 정도에 브레브의 발생이 보였습니다. 그러나 키가 작은 사람, 비만인, 노인, 여성이 발병하는 일도 드물지 않습니다.

 

낭포가 발생하는 원인이나 찢어지는 원인은 명확하게 되어 있지 않으므로 자연 기흉이라고 불립니다. 흡연이나 운동, 고양이 등의 자세, 기압 변화(여름보다 가을부터 겨울까지의 발병이 많습니다) 등에 의해 폐에 강한 부담이 걸렸기 때문에, 성장기의 뼈의 급성장에 폐의 성장이 시간에 맞지 않고 폐가 신장되어 버렸기 때문에, 심적 스트레스나 수면 부족 등의 생활 습관의 악화 때문이라고 생각되고 있지만, 모두 확증은 얻어지지 않았습니다.

 

 

기흉의 증상

 

기흉은 대부분 갑자기 발병합니다. 그리고 호흡을 해도 크게 숨이 들이마셔지지 않거나, 격렬한 운동을 하면 호흡을 할 수 없게 되는 등의 호흡 곤란, 산소 포화도의 저하, 빈맥, 동계, 기침 등의 증상을 볼 수 있습니다. 발병 초기에는 어깨나 쇄골 근처에 위화감, 흉통이나 등에 둔통이 보일 수 있지만, 폐의 허탈이 완성되면 흉통은 오히려 경감합니다. 통증은 사람에 따라 다양하며 전혀 느끼지 않는 사람도 있으며, 경미한 기흉으로 격통을 느끼는 사람도 있습니다.

 

자연 기흉의 경우 양쪽 폐에서 동시에 발병하는 것은 드물지만, 한쪽 폐가 발병하면 다른 쪽에 부담이 걸리기 때문에 가능성은 적지 않습니다. 두 폐에서 동시에 발병하면 산소가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위험합니다. 증상이 악화되면 흉부의 피부에 기포와 같은 것(피하 기종)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흉강에 누출된 공기가 현저하게 많아, 양압이 되어 대측의 폐나 심장을 압박하고 있는 상태를 긴장성 기흉이라고 합니다. 이 경우는 혈압 저하 및 쇼크를 오고, 긴급하게 흉강천자를 실시하지 않으면 죽음에 이릅니다. 이는 심장은 물론 폐도 혈액이 체내를 순환할 때마다 반드시 통과하는 장기이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폐의 모세혈관의 환류압은 낮기 때문에 혈액이 폐의 모세 혈관을 통과할 수 없게 된다(심장으로 돌아올 수 없게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긴장성 기흉으로 인한 호흡 곤란에 대해 양압 환기는 금기입니다. 이는 흉강 내압을 더욱 올리게 되어 폐의 허탈이 항진합니다. 긴장성 혈기흉, 혈흉에서는 긴급수술이 진행될 수도 있습니다.

 

 

기흉의 치료방법

 

가벼운 기흉에서는 무리한 자세나 운동을 하지 않고, 무리한 호흡을 하지 않고, 휴식을 취하면서 자연치유를 기다립니다. 이것이 기흉의 기본적인 치유 방법으로, 자각증상이 없는 채 완치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흉강 내는 밀폐 공간이므로 누출된 공기의 도망 길이 없지만, 경도이면 몇 주간에 걸쳐 점막으로부터 공기가 흡수되어 원래대로 돌아옵니다. 다만, 자연치유의 경우는 외과수술에 비해 재발할 확률이 훨씬 높기 때문에 재발을 반복하는 경우에는 중간 정도 이상의 처치가 필요합니다.

 

중간 정도의 기흉은 심한 통증과 호흡 곤란에 습격당한 경우입니다. 그때는 긴급처치로서 흉부의 겨드랑이 부분을 수 mm 절개하고, 흉강 드레나지에 의한 흡인을 실시합니다. 이것은 흉강 내를 탈기하여 폐가 팽창하기 쉬워지는 것을 목적으로, 원인 병소의 치료는 자연치유를 포함한 다른 수단에 요구합니다. 다만, 폐가 위축된 결과로서 막혀 있던 병소가 폐가 부풀어 오면 재개방해 버리는 일이 있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서는 드레너지를 맞추는 일도 있습니다.

 

반복되는 기흉에 대해 드레인 처치를 실시해도 개선되지 않는 경우는, 수술에 의해 낭포의 절제가 행해집니다. 현재는 흉강경 하에서 행해지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개흉하는 일도 있습니다. 시술 전에 흉부 CT로 원인 병소라고 생각하는 큰 낭포를 찾아 목표로 하지만, 실제로 찢어진 것은 CT로 확인할 수 없는 작은 낭포라고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구멍이 열린 부분을 꿰매는 수술도 있습니다.

 

화학 화상을 일으키는 흉막 유착술은 폐가 위축되지 않기 때문에 근본 치료가 될 수 있지만, 유착이 불충분하면 재발의 가능성이 남습니다. 재발 시에는 유착하지 않았던 부분만 위축하기 때문에 경도, 중 정도의 기흉에 머물지만 치료 시에 드레인을 삽입할 수 없게 되는 일도 있습니다. 또한 수술을 할 때는 유착을 벗길 필요가 있기 때문에 유착이 없는 경우보다 어려움을 겪고 개흉을 필요로 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기초질환이 없는 자연 기흉에서도 재발을 반복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재발률 통계는 자연 치유(또는 흉강배 수술 만)의 경우 약 50%로 매우 높습니다. 흉강경하 수술의 경우 5~10%, 개흉수술의 경우 0.5~3%이며, 개인차는 있지만 수술에 의해 재발률이 극적으로 낮아집니다. 한편, 폐색성 폐 질환 등이 기초에 있는 경우에는 더욱 난치성이 됩니다.

 

치료 후에도 잠시는 휴식을 필요로 합니다. 큰 기압 변화를 가져오는 사건, 즉 비행기에 탑승(철도나 자동차, 버스에서도 고개를 넘는 등), 관악기 연주, 스쿠버 다이빙 등은 사전에 의사의 허가를 얻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물론 흡연은 엄금하며, 기침은 가능한 한 참으면서 빨리 진해약을 복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후 한 달 정도 안정상태가 계속되면 운동도 재개할 수 있게 됩니다.

 

기흉으로 인한 수술 후 사망은 드뭅니다. 긴장성 기흉을 제외하고는 매우 낮은 0.04%입니다. 한편, 폐암이나 결핵 등의 기초질환을 가지는 중증의 속발성 기흉에서는 1.2%를 보이고 있습니다.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4/10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